‘장인’급 일당 30만원 넘어, 업계 “‘노가다’는 옛말, 비용부담보다 일의 품질이 중요”

 

[애플경제=김점이 기자]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한켠에선 대기업 임원급을 뺨치는 고수입 현장 노동자들도 적지 않은게 최근의 인력 시장 풍토다.

간판, 조명, 인테리어, 샷시, 철재 등 생활과 밀접한 시공 현장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들 업계의 경우 시공 현장 인력의 인건비가 날로 오르면서 업체의 부담도 늘어나지만, 한편으론 ‘전문가 시대’를 실감케도 한다. 

업체들로선 우선 일당 등 인건비 부담이 크다. 그러나 현장에선 단순히 비용만 따지기보단, 숙련도에 따른 고급 인력 선호 현상도 심하다보니, 인력시장 차별화도 이뤄지고 있다. ‘싼게 비지떡’이란 속설이 이곳에도 통하는 셈이다.

현재 단순 간판 시공의 경우 일당은 숙련도에 따라 다르지만 최고 30만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은 간판 탈부착에서부터 시트 가공, 선팅, 아크릴 가공, 에폭시 작업 등 다양한 공정에 걸쳐있다. 만약 조명시설이나 고급 실내외 장식, 인테리어 공사의 경우엔 40만원을 넘나드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한 개인별 숙련도에 따라 인건비 수준도 크게 벌어진다. 초보자 내지 경력이 일천한 경우엔 10~20만원 선일 수도 있으나, 이들은 원청업체에서 아예 일을 맡기길 꺼려하는게 보통이다. 경기도 광주시의 한 조명업체 대표는 “돈을 좀 더 주더라도 완벽하게 일처리를 할 수 있는, 숙달된 경력자에게 맡기는게 안심이 된다”면서 “비싼 인건비를 들여서라도 고품질의 공사를 하는게 기업으로선 훨씬 이익”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보니 10~20년의 장인 수준의 경력자들은 시공 현장에서 그야말로 ‘금값’으로 대접받는다. 일의 난이도에 따라선 보통 30만원에서 시작, 많게는 40만원을 훌쩍 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물론 식비나 각종 부대비용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도 업계로선 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정밀한 작업이 필요한 시트 가공이나 인테리어 장식, 상업 조명장치 설치 등은 더욱 그렇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돈 몇 만원 아끼다가 일을 그르치기보단, 숙련된 전문가에게 맡기면 대부분 흠잡을데 없는 결과를 내놓기 때문”이라며 “그 때문에 ‘장인’ 수준의 고숙련 노동자들을 구하려면 오히려 업체 측에서 경쟁을 벌이며 스카웃을 해야 할 형편”이라고 했다. 덕분에 장인급 숙련 노동자들은 한달 내내 쉴 틈이 없이 일감을 수주하고 있다.

이들은 한 달 평균 700만~800만원의 수입을 올리는 게 보통이다. 3% 정도의 세금을 제외하더라도 여느 고액 급여 생활자보다 높은 수준이다. “세금이나 공적 공제 등을 감안하면 연봉 1억5천만원 수준은 된다고 봐야 한다”는게 업계의 얘기다. 

이에 대해 고양시의 한 옥외광고업체 대표는 “물론 이들에게 작업을 의뢰하는 업체로선 인건비 부담이 클 수 밖에 없지만, 일의 품질이나 성취도로 봐선 이런 장인급의 숙련 노동자들이 당연히 받을 만한 대우”라고 말했다. 현장에서도 이젠 ‘전문가’가 대접받는 시대임을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