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앱으로 QR코드를 찍으면 모바일페이로 간편 결제

서울시는 결제 수수료가 전혀 없는 서울페이를 시행하기로 했다. (사진 = 서울시).
서울시는 결제 수수료가 전혀 없는 서울페이를 시행하기로 했다. (사진 = 서울시).

서울시는 그 실효성을 두고 논란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애초 계획한대로 판매 수수료가 ‘제로(0)’인 서울페이(가칭, 혹은 제로페이)를 연내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임대료 상승, 최저 임금 인상 등과 함께 카드사 수수료가 소상공인을 어렵게 하는 사회적인 이슈로 불거진데서 비롯되었다. 나름대로 소상공인 고통을 분담하고자 스마트폰 앱으로 QR코드를 찍으면 모바일페이를 통해 결제가 되는 간편 결제 시스템을 내놓았다. “소비자들은 새로운 앱을 내려 받을 필요 없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NHN페이코 등 기존 결제 앱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는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그러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거래가 일상화된 현실에서 과연 실효성이 있느냐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많은 언론들이 “이미 신용카드가 퍼질 대로 퍼진 상황에서 소비자가 선뜻 서울페이를 사용하겠느냐”고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페이’가 자리 잡으려면 소비자가 앞장서 사용해줘야 하는데, 아직까지 확실한 유인책이 없다는 평”이라며 문제점을 시인하면서도 (서울페이를 활용하면) 소득공제율 40%(신용카드 15%, 체크카드 30%)란 점을 강조하고 있다. 

서울시는 “그럼에도 서울시 ‘제로페이’ 실험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그 당위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우선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풀고자 하는 공공 목적으로 결제 혁명을 시작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카드사 수수료 적정성에 대해 사회적으로 논의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란 주장이다. 

또 서울페이가 국내 페이시장의 변곡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민간 플랫폼 기업과의 협업이 핵심인 서울페이는 오프라인 페이 시장을 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NHN페이코 등 주요 페이 서비스 누적거래액은 5조원, 이용자수는 8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대부분 온라인과 모바일 결제에 집중됐을 뿐 오프라인에서의 사용은 적은 편이다. 서울페이는 온라인에 집중된 페이를 오프라인 매장으로 확대하는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는게 서울시 주장이다. 

이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소상공인에게 QR 결제 키트를 무료로 나눠주는 프로그램을 통해 7만5,000곳의 오프라인 가맹점을 모았다. 서울페이가 활성화하면 가맹점은 더 늘어나고 오프라인으로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삼성페이와 손을 잡고 오프라인 시장 확대를 노리는 NHN페이코 역시 서울페이가 큰 힘이 될 전망이다. 

특히 서울시는 “서울페이는 ‘코리아페이’로 향하는 출발점”임을 강조하고 있다. 서울은 물론 주요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인 ‘페이’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소상공인 전용 결제시스템이 하나로 통합되는, 이른바 ‘코리아페이’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가 소비자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은 소득공제율 확대다. 여기에 버스 등 대중교통 공공할인 정도가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장차 ‘코리아페이’로 확장한다면 전국적으로 공공 할인을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 혜택은 커진다는 설명이다. 

서울시는 “예를 들어 ‘반값 대중교통’을 실현시킨다면 서울시가 주도한 공공페이는 ‘국내 최고의 히트상품’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면서 “소상공인은 수수료를 내지 않아 좋고, 소비자는 대중 교통비를 현저히 아낄 수 있어 좋으며, 사회적으로는 대중교통 활성화로 미세먼지 감축을 유도하는, ‘일석 삼조’의 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자료 = 서울시)
정리 = 유현숙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