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S집계…1년새 2.3%↑, 中·홍콩 다음

정부가 지난해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대출 규제 강화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지만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 속도는 세계 3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다. 1년 전보다 2.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43개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 홍콩(3.5%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오름폭이 컸다.
1분기의 가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 DSR도 역대 최고다. 전 분기보다 0.1% 포인트 오른 12.2.%로 조사됐는데, 이는 지난 2011년 2분기부터 4분기까지 기록한 사상 최고치와 같은 수준이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처분가능소득의 약 1.6배다.
DSR는 특정 기간에 갚아야 할 원리금이 가처분소득과 견줘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DSR이 높을수록 미래 빚 상환 부담이 커지는 것이기 때문에 가계부채의 위험 지표로 통한다.
정부는 지난해 6·19 대책, 8·2 대책 등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고 대출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등 돈줄을 옥죄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10월에는 2018년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조기 도입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11월에는 한은도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하지만 여전히 가계부채 비율이 상승한 것은 이 같은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7위다. 가계부채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전인 2014년 1·4분기(81.9%)에는 12위였는데 4년간 13.3%포인트, 순위로는 5단계 상승했다.

이해리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