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검토…전체 거래 중 개인 '0.7%' 그쳐

최근 1년간 국내 주식 공매도 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의 거래 비중이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매도란 '없는 주식이나 채권을 파는 것'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이다. 
한국거래소 공매도 종합 포탈을 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 동안 코스피 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88조126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의 비중은 각각 68.2%, 31%로 개인은 0.5%(4307억 원)에 그쳤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32조746억 원) 중 개인 거래대금도 3632억원으로 1.1%에 불과했다. 외국인 비중은 72.5%, 기관은 26.3%였다.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친 전체 공매도 거래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0.7%에 그쳤다. 외국인의 비중은 69.4%였으며 기관은 29.9%였다. 이에 금융 당국은 개인도 공매도 시장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밝혔다.
개인의 참여가 부진한 것은 신용도나 상환 능력이 열악해 현실적으로 개인의 공매도 접근이 제한적인 데 따른 것이다. 그 과정에선 정보력과 자금이 필요한 탓에 주로 기관이나 외국인이 이용해왔다. 개인의 경우 직접 공매도를 하려면 대주거래를 해야 하는데, 종목과 물량이 매우 제한적이고 기간도 통상 약 2개월(60일) 정도로 짧아 전체 공매도 거래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가 채 되지 않는다. 이에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공매도를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꼽으며 폐지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그러나 금융위는 그동안 공매도 제도가 하락장에서 증시 유동성을 높이고 제 가격을 빠르게 찾아주는 순기능이 있었다면서 폐지보다는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하지만 비판이 이어지자 지난 15일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공매도는) 기관이나 외국인보다 개인 투자자가 불리할 수밖에 없는 '기울어진 운동장'이어서 시장 투명성을 더욱 높이고 투자자 간 참여 형평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있었다"며 "개인이 공매도 시장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개인투자자의 공매도 접근성 제고를 위해 어떠한 방안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환경이 조성된다면 개인투자자도 공매도 전략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은 주식대여 가능 물량이 턱없이 부족한데 그것을 확대하는 것이 우선이다"라고 강조했다.
황 연구위원은 "기관이 개인에게 직접 주식을 빌려주는 것은 신용 문제 등을 고려하면 불가능해 보이지만 이 경우 주식을 빌려줄 때 개인과 기관 사이에서 신용위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다른 기관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전체 증시 거래에서 공매도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4%가 조금 넘는 수준이다. 최근 1년간 증시 전체 거래대금 2923조9637억 원 중 공매도 거래대금은 120조2007억 원으로 4.1%였다. 시장별로는 코스피 시장이 5.5%였고 코스닥 시장은 2.4%였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코스피 시장에선 이 비중이 6.0%, 코스닥 시장은 1.9%로 일본(38.7%), 미국(40.3%) 등 해외 주요 증시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해리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