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전환율 OECD 최저, ‘고령층 한시적 일자리 크게 늘어난 탓도’

사진은 본문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은 본문 기사와 관련없음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이 정규직 채용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는 더욱 인색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국내 임금 근로자 10명 중 1명만 대기업 소속의 정규직 일자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규모 사업장의 신규 채용이 7년 만에 정규직 중심에서 비정규직 중심으로 전환하는 등 여전히 비정규직 중심의 노동시장 재편의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대기업에 다니는 정규직 1차 노동시장 근로자는 전체 임금 근로자의 10.7%에 불과했다. 이에 비해 나머지 89.3%는 중소기업에 다니거나, 비정규직인 2차 노동시장 근로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율도 대기업이 크게 낮은 수준이었다. 임시직의 3년 후 정규직 전환율을 보면 한국은 22%로 OECD 조사 대상 16개국 중 꼴찌였다. 보고서는 이같은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는 청년·여성 고용 부진, 과도한 자영업 비중 등 국내 노동시장의 고질병을 유발한 주요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대규모 사업장의 신규 채용은 이젠 정규직 중심에서 비정규직 중심으로 전환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의 자료를 보면 올해 8월 기준 종사자 수 300인 이상인 대규모 사업장에서 일하는 임금근로자 253만4천명 중 비정규직은 37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9천명 많았다. 이 같은 증가 폭은 지난 2011년 4만천명 증가한 후 최근 7년 사이 가장 큰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내 노동시장에선 정규직 증가 폭이 크게 둔화되면서 전체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이 지난 1년간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올해 8월 기준 정규직 근로자는 216만1천명으로 지난해 8월에 비해 2만9천명 증가하는 데 그쳐 비정규직 증가 폭을 밑돌았다.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은 1년 전보다 3만6천명이 늘었다.
고용시장 악화로 같은 기간 정규직 일자리는 3천명 늘어나는 데 그쳐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3%로 올라갔다. 
비정규직 일자리 중에선 공공부문 정규직화로 파견, 용역직은 줄었지만 고령층을 중심으로 근로 기간이 정해진 한시적 일자리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근로형태별로는 한시적,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고 분석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월 급여차도 136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 8만원 가량 확대됐다.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164만4천원으로 지난 1년간 4.8% 올랐고 정규직은 300만9천원으로 오름 폭이 5.5%로 더 컸다.
시간제나 기간제 등 비정규직 임금이 여전히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 통계청이 발표한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55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5.3% 늘었다. 이 가운데 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300만9천원으로 1년 전보다 15만8천원, 5.5% 늘었고 비정규직은 164만4천원으로 7만5천원, 4.8% 증가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136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 8만원 가량이나 늘어난 것이다. 

이윤순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