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언론, 투기세력 등 “급냉각”, “거래절벽” 용어 다시 등장

     

정부 9·13 부동산 대책이 본격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대책 발표 두 달 만에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하고, 투기성 거래가 뜸해지는 등 ‘약발’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제신문 등 일부 언론에선 예의 ‘거래 절벽’, ‘냉각’ 등의 표현을 동원하고 있으나, 실수요 거래가 아닌 투기성 매매가 급격히 줄어든 것이어서 긍정적인 현상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국감정원은 지난 12일 조사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 대비 0.01% 하락했다고 밝혔다. 9·13대책 이후에도 오름폭이 둔화되기만 하던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보합에 이어 이번주 1년 2개월여만에 하락했다.
이는 강남 재건축 단지에서 약세가 지속되고 비강남권의 아파트값도 상승세를 멈췄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이번 주 송파구 등 강남권 4구의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7% 내리며 4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이 약세로 전환하자 전국의 아파트값도 3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이런 현상은 수치로도 나타나고 있다. 9월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인 10월 서울지역 부동산 매매시장 소비심리가 급격하게 ‘냉각’됐다는 분석이다. 국토연구원은 10월 서울시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 지수는 128로 전달에 비해 19포인트 떨어졌다고 밝혔다.
지수는 연구원이 전국 2천200여개 중개업소와 일반인 6천400가구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 0∼95는 하강, 95∼114는 보합, 115∼200은 상승 국면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 서울의 부동산 매매 소비심리 지수는 8월에 155.9를 기록한 뒤 9월 147로 한풀 꺾이고 나서 지난달 다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강력한 부동산 규제 안이 제시된 9·13 대책의 영향으로 투기 성격이 부동산 투자 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를 ‘소비심리’ 위축 등이라기보단, 실제 주거 이전이나 실수요 위주의 시장 안정화 내지 정상화로 봐야 한다는게 뜻있는 부동산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이는 엄격한 투기성 대출 심사와 억제, 2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종부세 중과와 임대업에 대한 세제 혜택 축소 내지 폐지 등의 원인이 작용한 것으로 본다.
투기와 비정상적인 ‘갭투자’를 부추기는 일부 ‘전문가’들과 이들의 견해를 그대로 옮기는 언론에선 “서울 아파트 시장이 급속히 냉각되는 분위기”라는 식으로 시장 안정화를 사실상 부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가 '계약일' 기준으로 거래현황을 공개하는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9·13대책 발표 당일부터 11월 13일까지 서울 아파트 계약 건수는 총 3천551건이었다. 이는  9·13대책 직전 두 달간 거래 건수의 7분의 1 수준이다. 

김예지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