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가까이 긍정적…통계청 “유병장수 시대”

자료 = 통계청

1955~63년에 태어나 중장년에 접어든 이른바 ‘베이비부머’ 세대가 절반 가까이 노부모를 요양원이나 요양시설에 맡기는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특히 질병에 시달리는 부모를 부양하는데 부담을 느껴, 요양시설에 부모를 위탁하고 대신 돌봄을 의뢰하는 세태가 대중화 되고 있다. 또 지난해 우리나라 노인 2명 중 1명은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고 치매 노인도 급격히 늘어, 병을 갖고도 오래 사는 ‘유병장수’의 시대로 접어들어 가는 모양세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한국의 사회동향’을 보면, 지난해 만성질환 3개 이상을 가지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비율은 51%였다. 노인 인구 절반이 만성질환을 갖고 살아가는 셈이다. 이는 2008년 30.7%보다 20.3%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치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지난해 치매 진료자 수도 45만9000명에 달했다. 이는 4년 전보다 1.5배 증가한 수치다.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자격자(인정자)는 전체 노인인구 대비 8% 수준으로 확대됐다. 2008년 도입 당시에는 4.2%, 3등급에서 5등급으로 확대된 2013년 6.1%에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8%를 차지해 10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특히 장기요양인정자 중 2017년 치매 및 중풍질환자 비중은 42.9%로 보험제도 초기(31.3%)보다 크게 증가했다.

 

자료 = 통계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으로 새로운 일자리가 된 요양보호사 인력은 지난해 34만1000명으로 2008년(11만4000명) 대비 약 3배가 늘었다. 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중 요양시설 이용자도 같은 기간 6만4000여명에서 지난해 20만여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베이비부머’ 세대는 부모가 돌봄이 필요한 경우 요양시설(49.2%)이나 재가서비스(22.4%), 요양병원(22.2%)을 적극 활용할 의향을 보였다. 부모부양에 대해서도 ‘가족과 더불어 정부·사회’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48.3%로 가장 높았다. 특히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답변은 26.7%로 2008년에 비해 14%p 낮아진 반면 노인 ‘스스로 해결’하겠다는 답변은 2008년 11.9%에서 지난해 19.4%로 7.5%p나 늘었다. 과거 꺼려했던 요양시설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령화 시대에 병을 앓고 있는 노인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보살펴줄 전문 인력과 제도가 뒷받침되고 보호시설 등도 증가하면서 ‘유병장수 시대’로 접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노년기 삶의 태도와 가치관도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래 살지만 소득이 변변치 않아 노인 3명 중 1명(33.6%)은 일을 하고 싶어 했다. 노인 10명 중 6명(59.5%)은 상속방법으로 자녀 균등 배분을 선호했고,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응답은 17.3%로 10년 전(9.2%)보다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사후 화장을 희망하는 노인은 전체 71.8%로 10년 전(45.6%)보다 1.6배 가까이 늘었다.

 

자료 = 통계청

2013~2016년 55세 이상 중고령 은퇴자 가구의 연간 총소득은 182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경제활동가구(4955만원)의 37% 수준이다. 은퇴 가구의 소득 중 64%는 이전소득이었다. 이전소득은 생산 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나 가족 등이 보조하는 소득을 말한다. 80%가 넘은 은퇴 가구에서 이전소득이 발생했고 부동산소득과 금융소득, 근로소득은 각각 19%, 14%, 9%였다. 은퇴 가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률은 전체 가구 대비 4배 정도 높았다.
2013~2016년 은퇴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98만원으로 경제활동가구(248만원)의 39.5%에 그쳤다. 은퇴 가구의 생활비 가운데 식비, 주거비, 의료비의 비중은 전체의 50%였다. 특히 의료비를 제외하고는 경제활동가구의 지출금액이 은퇴 가구보다 훨씬 많았다.
거주형태를 보면 자녀동거가구는 23.7%로 2008년에 비해 3.9%포인트 감소했다. 같은 기간에 노인 독거 가구는 23.6%로 3.9%포인트 늘어났다. 노인 부부 가구도 47.1%에서 48.4%로 1.3%포인트 높아졌다.

이해리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