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 속 도입 성과 가시화… ‘스마트공장’ 기업 평균 2.2명 고용 창출
중소기업 청년 취업 활성화 기대… 안전·업무강도 등 노동환경 개선

흔히 자동화와 산업혁명기엔 일자리가 줄어들고, 이를 기계가 대신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러나 작업환경의 변화에 따라선 이와는 다른 결과도 예측된다는게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특히 스마트 공장의 경우 그런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을 이용, 작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오히려 중고기업의 기존 열악한 환경을 ‘스마트’하게 바꿈으로써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효과도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매출 증대로 이어지면서 기업당 평균 2.2명의 일자스마트공장은 인공지능·로봇·사물인터넷·빅데이터 등 ICT(정보통신기술) 분야와 제조업이 점차 빠르게 융합해나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스마트공장은 설계·개발, 제조, 유통·물류 등 생산 과정 전반에 ICT가 적용된 지능형 공장으로, 생산성과 품질·고객만족도 등을 향상시킨다. 제조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의 도입으로 가장 크게 개선되는 부분은 ‘생산성 향상’과 ‘불량률 감소’ 등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단순 기계 자동화를 넘어 보다 고차원적인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공장이 수요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생산’ 시대가 도래 할 수 있도록 디딤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제조업계 등 산업분야 곳곳에서 스마트공장을 도입함에 따라 자동화로 인해 사람의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걱정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면서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다. 또한 “기업이 인력을 줄이고 인건비를 감소하는 차원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을 희망하는 게 아니냐”는 다소 왜곡된 주장도 있다. 
스마트공장 도입이 인건비 감소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는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스마트공장이 추구하는 운영 모델은 이와 반대의 상황을 그리고 있다. 요즘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임금, 휴식을 보장 받지 못하는 고강도 업무량, 안전을 장담하기 어려운 열악한 근무환경 등이다. 스마트공장은 이러한 노동환경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노동환경을 개선하는 구조다. 이는 중소기업 청년일자리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실제로 스마트공장의 도입으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는 성과는 눈에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은 생산성이 30.0%, 납기 준수율이 15.5% 각각 상승했고 불량률은 43.5%, 원가는 15.9% 하락했다. 산업재해도 22% 줄었다. 특히 생산성 향상이 매출 증대로 이어지면서 기업당 평균 2.2명의 일자리가 늘어났다. 
아쉬운 부분은 스마트공장 도입 수요를 정부 정책이 따라가지 못해 확산 속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올해까지 보급된 스마트공장은 7,800개로, 이는 6만 7천여개 중소기업(10인 이상)의 11.8%에 불과하다. 정부에 스마트공장 구축 희망 의사를 밝힌 중소기업 3만 2천여개사(48%)에 훨씬 못 미친다. 
때문에 2만개 수준인 정부의 지원계획에 기업수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스마트공장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스마트공장의 원활한 도입을 추진할 수 있는 공급기업 및 운영 전문인력을 키우는 일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이 같은 산업계의 분위기를 읽은 모양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중소기업 절반을 스마트화하겠다”고 나섰다. 산자부는 우선 오는 2022년까지 2만개 도입하려던 스마트공장을 3만개로 확대했다. 노동시간 단축 대상기업과 구축효과 우수기업을 집중 지원하는 전략으로, 중소가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기업당 ‘기초단계’ 지원규모를 기존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하고 ‘중간1’ 이상 단계는 기존 1억원에서 1억 5천만원으로 늘렸다. 
또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 시스템을 빠르게 고도화할 수 있도록 연내 사업참여 기회를 2회까지 주기로 했다. 여기에 관계부처 및 산은·기은 등 정책 금융기관과 스마트공장 기업 리스트를 공유해 구축·설비투자·운영 등 스마트공장 도입의 모든 단계에서 원활하게 금융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스마트 마이스터 컨설팅 사업을 신설하는 등 대·중소기업 상생 모델도 늘려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스마트공장을 공급하는 기업의 육성에도 힘쓴다. 공급기업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을 늘려 성장 기반을 닦아준다. 공급기업 뿐만 아니라 스마트 제조혁신 관련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재직자 직무전환(6만명)’ 및 ‘신규인력 양성(4만명)’을 통해 총 10만명의 스마트 제조인력을 키울 계획이다. 재직자 직무전환은 기존 생산 인력을 스마트공장에 적합한 근로자로 교육하는 방식이며, 신규인력 양성은 고교·대학과 연계해 전문적인 인력으로 육성하는 방식이다. 

유현숙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