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지진조기경보시스템’ 대거 확충, 호우 등 재난 방지 인프라 구축․정비

경기도가 , ‘음성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대폭 확대 보급하고, 호우 등 재해 예방을 위한 각종 시설을 정비․개선하는 등 재해예방사업에 한층 힘을 쏟고 있다.
경기도에 따르면 22일 80년 주기로 오는 큰 비로 기록됐던 지난 2011년 호우와 비슷한 규모의 비가 지난해 8월 말 경기도에 내렸지만 대규모 피해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자연재난과는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8.26~9.1) 집중호우 피해원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내고, 세부개선방안을 마련 도 관리부서와 시·군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26일부터 9월 1일까지 경기도에는 564mm의 비가 내렸다. 이는 28명의 인평피해와 2,494억 원의 재산피해를 냈던 2011년 7월 25일부터 29일까지 내린 집중호우 433mm보다 131mm가 많은 양이다. 그러나 경기도는 지난해 호우 당시 인명피해 없이 11개 시·군에서 183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이런 이유로 재해예방사업 효과를 꼽았다. 경기도는 지난해 피해를 입은 11개 시·군에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우수관로 정비·배수펌프장 설치 6,055억 원, 하천개수 3,815억 원, 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 1,298억 원, 저수지 개보수 135억 원 등 총 1조 1,303억 원을 투입해 재해예방사업을 진행했다. 
실제로 동두천시 하봉암동 산60-1번지 일원의 경우 2011년 7월 시간당 81mm 규모의 집중호우가 내려 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 지역에는 지난해 8월 역시 시간당 58.1mm규모의 집중호우가 내렸지만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도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이 지역에 52억 원을 투입해 방재댐 1개소와 하천보호공사 등 재해예방사업을 진행했다. 
1999년 8월 시간당 56mm 규모의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입었던 파주시 문산읍 문항로 85번길 일원 역시 지난해 8월 집중호우 당시 시간 당 64mm 규모의 집중호우가 있었지만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았다. 경기도는 이 지역에 34억4,600만 원을 투입해 길이 2.2.km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했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해 호우 피해를 입은 시설 대부분이 소규모이거나 정비가 안 된 곳이었다며 재해예방사업 예산의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호우로 범람 피해를 입은 연천군 마거천, 적거천, 중사천은 하천기본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지역이며, 연천군 간파천과 양원천, 차탄천은 하천기본계획은 수립했지만 아직 정비가 안 된 지역이다.
보고서는 연천과 포천지역의 경우 우수관이 좁아 제대로 빗물을 처리하지 못한 데다 토사까지 유입돼 피해를 키웠다며, 재해예방사업이 완료된 인근 파주나 동두천시는 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호우 피해로 인한 재해복구사업 규모는 총 524개소로 이 중 130개소는 이미 완료했으며, 394개소는 현재 진행 중으로 올해 우기 전까지는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진 발생 상황을 실시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경기도 지진조기경보시스템’도 올해 48곳에 추가로 설치된다. 
경기도가 17일 이미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이 설치된 용인시청과 안양시청을 제외한 나머지 29개 시‧군청사 등 48개 시설에 올해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이란 기상청과 실시간 연계해 지진정보 발령 시 이를 신속하게 음성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경기도 각 소방서, 도 산하 직속기관 등 71개소에 설치돼 있다. 
변영섭 경기도 자연재난과장은 “기상청의 지진 안내 문자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경보시스템이지만 경기도 경보시스템은 도내 규모 3.5이상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에만 발령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며 “기상청에서 발령한 경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해 구내방송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문자발송보다 신속하고, 트래픽으로 인한 지연 등의 우려도 없다”고 말했다. 
긴급재난문자의 경우 이동통신사의 신호 변환, 기지국 재송출 과정에서 10여초 가량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송출량이 많을 경우 문자발송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경기도는 올해 4억 8백만 원을 투입해 시‧군 청사를 위주로 설치하고, 점차 주민센터와 대형 놀이공원, 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과 같은 민간시설로 늘려갈 계획이다.
올해 경기도 지진조기경보시스템 설치가 완료되면 도의회, 교통정보센터, 소방재난본부 등 공공기관 31개소와 소방서 34개소, 도내 시‧군 청사 54개소 등 모두 119개소에서 지진음성경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이윤순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