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1월 FOMC 기준금리 동결…언론 ‘금리 인하’까지 지레 짐작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2.25~2.50%로 동결했다. 성명서에는 ‘점진적 금리 인상’이란 표현이 빠지고, 미국 경기에 대해서 ‘강한(strong)’ 대신 ‘견고한(solid)’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는 연준의 통화정책이 비둘기파 기조로 완연히 돌아섰음을 의미한다.
비둘기파로 돌아선 연준의 통화정책을 두고 언론에서는 미국 경기상황을 새삼 의심하며 ‘금리 인상 중단’은 물론, ‘금리 인하’에 대한 가능성까지 내놓고 있다. 하지만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리란 것은 시장에서 이미 예상된 바였다. 최근 연준의 인상 주기를 보더라도 3월, 6월, 9월, 12월로 분기별 마지막 달마다 인상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지난 12월 FOMC에 이어 다음 금리 인상 시기로 3월 혹은 6월을 전망하고 있었다.
완화적 통화정책은 흔히 경기상황에 부정적인 요소가 더 많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고 해서 항간의 우려처럼 미국 경기가 침체 국면에 들어선 것은 아니다.

미국의 경기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둔화의 폭은 급격하지 않다. 또 올해 미국의 GDP가 2%대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절대적인 수치로 봤을 때 낮은 성장률이 아니다. 이런 부분들은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시장의 섣부른 기대감일 뿐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끊임없이 미국 경기에 대한 불안감을 지피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중지), 미중 무역분쟁, 브렉시트 등 대내외 불확실성의 영향이 크다는 판단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러한 리스크 요인들을 근거로 하는 비관적 경기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연준을 직접적으로 압박하기도 했다. 이에 지난해 11월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중립금리’ 발언 등 비둘기적인 모습을 보이며 매파적이었던 그간의 긴축적 통화정책에서 선회할 가능성을 내비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 요소들은 이미 장기화되어 시장에 가격 반영이 대부분 끝난 것으로 평가된다. 미중 무역분쟁도 물론 오랜 기간 지속되고 있는 이슈다. 양국 간 관련 발언이나 회담 등이 있을 때마다 증권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긴 하다. 그러나 현재 미국과 중국이 해결 국면에서 줄다리기 하는 상황이라 더 이상의 큰 충격을 입힐 이슈는 아니라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또한 지난해 말부터 영향을 끼친 셧다운의 경우에는 실물경기에 여파가 있을 수 있지만 일시적인 이슈여서 연준의 정책 기조를 바꿀 만큼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전체적으로 굵직한 이슈들이 시장에 급격한 충격을 주지는 못한다는 예측이다.
이러한 분석들 속에서도 일부 국내외 언론들은 호들갑스럽게 더 이상 연준이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처럼, 오히려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을 것처럼 부산을 떤다. 반면, 대다수의 금융 전문가들은 연준의 상반기 1회 금리 인상을 전망하고 있다. 연준이 생각하는 중립금리는 3.0%로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올해 연준은 2회 정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0.25%포인트씩 2회에 걸쳐 금리가 인상되면 그간 이어져온 금리 인상 랠리가 올해 안에 마무리된다는 뜻이다.
‘섣부른 기대감’을 깨고 연준이 3월 인상을 통해 그간의 기조를 시장에 재확인 시켜주면서 경기상황에 대한 우려를 일축할지, 시장의 충격을 감안해 6월 인상으로 한 템포 쉬어갈지 향후 ‘금리 인상’ 시기에 귀추가 주목된다.

유현숙 기자
유현숙 기자

 

유현숙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