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원리금 부담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 역대 최장기간 상승세

아파트 값 오름세가 다소 꺾이고, 건축 허가 비율이 전년도에 비해 떨어지는 등 부동산 시장이 안정세로 접어들었다곤 하지만, 평범한 중산층으로선 여전히 집값이 비싸기만 하다. 실제로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0분기 연속 상승하면서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4년 이후 역대 최장기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33.3을 기록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소득이 중간인 가구가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 대출을 받을 때 원리금 상환 부담을 얼마나 져야 하는지를 지수화한 것이다. 지수 100은 소득 가운데 약 25%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한다는 뜻으로 수치가 클수록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다.

주택구입부담지수(2013~2017) 제공=주택금융연구원.
주택구입부담지수(2013~2017) 제공=주택금융연구원.

지난해 4분기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전 분기 대비 3포인트 올랐으며 2010년 2분기 이후 최고치다.

그나마 집값이 다소 내리긴 했지만 여전히 평범한 실수요자들에겐 ‘천정부지’ 수준이다. 최근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상위 10위권이던 단지들이 올해 들어 거래가 줄면서 매매가격이 최대 2억원 깎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3위인 강남구 수서동 삼익의 경우 지난해 9월 9억9천만원까지 올랐던 전용 49㎡의 매매가격은 올해 1월 7억9천만원으로, 2억원 떨어졌다. 지난해 상승률 6위인 사당동 이수역 리가는 지난해 10월 10억8천만원에 거래된 전용 84㎡의 값이 올해 1월 8억7천만원으로, 2억여원 하락했다.

하지만 상당수 아파트값은 여전히 집값 폭등 이전보다 비싼 것으로 집계됐다. 물론 올해 상반기 아파트 공시가격 발표에 이어, 종합부동산세 과세를 앞두고 있어 이들 단지의 매매가격이 계속 오르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은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언론은 13일 “전국의 건축 인허가 면적이 전년 대비 6.2%, 착공 면적이 5.8% 감소했다”는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대서 특필하는 등 ‘부동산 시장 침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국 간접적인 집값 띄우기라는 지적을 살 소지가 큰 보도 내용이다.

이들 보도에 의하면 수도권의 건축 인허가 면적은 10.7% ‘급감’했고 지방은 2.3% 감소했다.

언론은 “인허가 면적이 줄어든 이유로는 지난해 각종 부동산 대책으로 인한 ‘시장 위축’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전국의 건축 준공 면적은 전년보다 8.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면서 “이는 2∼3년 전에 쏟아졌던 분양 물량이 속속 준공하면서 지난해 준공물량이 부쩍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덧붙였다. 실수요자로선 결코 새집 물량이 적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일부 건설업계와 부동산 업계의 시각으로 보도를 이어가는 일부 언론의 태도와는 모순된 현상이다.

실제로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16년 3분기부터 10분기 연속 상승세가 이어질 만큼 아직 집값은 터무니없이 비싸다는게 실수요 계층의 여론이다. 그런 만큼 앞으로 집값 하락세가 실수요자들의 수요와 맞아 떨어지는 수준으로 하락할지가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