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시가 공표, 전국 아파트 평균 5.32%↑‥1년전보다 0.3%p 상승

정부는 단독주택과 토지에 이어 14일 발표한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보면 강남 3구보다 이른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이 더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 주목을 끈다. 한강을 사이에 두고 강남을 마주보고 있는 이들 지역이 최근 신규 개발과 인프라 확충 등으로 ‘신강남’에 비유되는 주거지로 부상하고 있다.

14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2019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에 의하면 아파트 등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평균 5.3% 오를 것으로 예고됐으나, 6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는 공시가가 15% 넘게 인상된다. 시·군·구 중에서 공시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경기 과천시로 상승률이 23.41%에 달했다. 과천은 최근 재건축 아파트 분양과 갈현동 지식정보타운 개발 등의 기대감으로 주택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게 원인이다.

이어 서울 용산구(17.98%), 동작구(17.93%), 경기 성남시 분당구(17.84%), 광주 남구(17.77%) 등의 공시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용산·동작구에 이어 마포구(17.35%), 영등포구(16.78%), 성동구(16.28%) 등의 상승률이 평균(14.71%)보다 높았다. 지난해 집값 급등을 이끌었던 서초구(16.02%), 강남구(15.92%), 송파구(14.01%) 등은 이들 지역보다 공시가격이 적게 올랐다. 

특히 용산구는 지난해 서울시가 여의도·용산 통합개발 계획을 발표했던 것처럼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비롯한 개발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곳이다. 동작구도 흑석·노량진 뉴타운사업 등으로 집값이 상승한 지역이다.

시도별로는 서울의 공시가격 상승률이 14.17%로 가장 높고, 이어 광주(9.77%)와 대구(6.57%)가 전국 평균보다 높은 반면, 울산(-10.50%), 경남(-9.67%), 충북(-8.11%) 등 10개 시도는 1년 전보다 공시가가 낮아졌다.

한편 올해 전국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의 평균 공시가격이 지난 1년간 오른 시세를 반영해 5.32% 높게 책정됐다. 이는 지난해 인상률보다 0.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국토교통부는 단독주택, 토지 등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공시가격이 시세를 반영하는 수준인 현실화율은 지난해와 같은 61.8%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세 6억원을 기준으로 인상폭은 크게 차이가 난다. 전체 아파트의 91%를 차지하는 시세 6억원 이하 중저가는 공시가격 상승을 최대한 낮추고, 상위 2.1%의 고가 아파트는 크게 높였습니다.

국토부는 이날 발표에서 “12억 원 이하 중저가 주택에 대해서는 시세 변동율 이내로 공시가격을 산정했으며, 상당부분 형평성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구간별로 전체 아파트의 70%가 집중된 3억원 미만 아파트 공시가격은 1년 전보다 -2.45%로 오히려 떨어졌고, 3억~6억원 미만은 5.6% 올랐다. 반면 6억~9억원 구간 아파트는 15.13%, 9억~12억원 구간은 17.61%, 고가 아파트 기준이 되는 12억원 이상은 16.9% 올랐다.

국토부는 “강남 지역은 지난해 공시가격 현실화가 상당 부분 이뤄진 측면이 있다”며 “지난해 9·13부동산대책 이후 중저가 주택의 집값은 하락폭이 적었던 반면 초고가 주택값이 크게 떨어졌다.”고 배경을 밝혔다. 그러나 조선업 장기 불황 등으로 경기가 침체한 경남 거제시와 김해시 등의 공시가격은 각각 18.11%, 12.52% 하락했다. 신규 입주 물량이 증가한 경기 안성시와 충북 충주시의 공시가격도 각각 13.56%, 12.52% 떨어졌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