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단기적 영향 적지만 장기적으로 마이너스
“통화·재정정책 균형 필요, 성장률 올리려면 내수 진작해야”

일본의 ‘반도체·OLED 소재 수출 규제’ 이후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부정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주식시장 관점에서 한·일 무역갈등 장기화될 경우 발생하게 될 일과 주식동향에 대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KB증권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한·일 무역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주식 동향을 3가지로 나눠 분석했다.
메모리 반도체 재고를 다 소진했을 경우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의 동반 상승이 나타나고, 이 중 감산에 나설 필요가 없는 기업이 가장 큰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견했다. 현재 주식시장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동반 상승하고, 그 중 마이크론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이는 데에 따른 분석이다.
두 번째 글로벌 IT 기기 생산 차질이 생겼을 경우 글로벌 IT 분야 전반에 대해 동반 하락하고, 세 번째로 마이크론이 생산시설을 증설할 경우 한국 반도체는 급락하고, 마이크론 및 미국 반도체 장비 업체들의 주가가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이 두 번째 단계를 고민하는 시점은 메모리 반도체의 재고소진이 본격화된 이후까지 일본의 수출 제재가 지속되는 경우다. 

일본산 반도체 소재가 완전 대체가 어려운 만큼 재고 소진 이후에는 한국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단기적으로는 메모리 반도체 재고소진, 이후에는 메모리 반도체 공급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수출 제재가 6개월 이상으로 더 장기화되면 글로벌 IT 기기 생산이 함께 차질이 생기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수출 제재가 2년 이상이 되면 마이크론이 생산라인을 증설해 메모리 반도체 공급부족을 메우거나, 한국이 일본산 반도체 소재의 대체재를 확보해 메모리 반도체 생산을 정상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7월 12일 러시아에서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품목인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를 공급할 있다는 뜻을 한국 측에 제의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체제 공급으로 한시름 덜었다는 의견도 있지만 공급 업체가 바뀔 경우 불화수소에 대한 시험 기간이 필요해 쉽사리 결정하기 어려운 사안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이번 일로 반도체 업계는 반도체 생산 안정화를 위해 소재 수입국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반도체 소재 국산화에 힘써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외부 요인에 대한 영향을 줄여 장기적으로 시장을 내다봐야 한다는 의미다.

<한국은행 2019년 6월중 금융시장 동향>코스피는 주요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미·중 무역협상 재개 기대 등으로 상승하다가 7월 들어 일본의 반도체소재 수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반락
<한국은행 2019년 6월중 금융시장 동향> 코스피는 주요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미·중 무역협상 재개 기대 등으로 상승하다가 7월 들어 일본의 반도체소재 수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반락

한편, 국제 신용평가서 스태더드앤푸어스(S&P)는 이번 상황에 대해 한국의 투자와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숀 로치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1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제금용센터 초청 세미나에서 “이번 일은 무역과 정부정책이 관련돼 있어 예측이 어렵다. 중·단기로 분석하면 현재 반도체 재고와 핵심소재 재고도 있고, 완제품 재고도 있어서 괜찮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마이너스인 것은 분명하다. 반도체 분야 감산과 같은 전략적 의사결정에 따라 전체적으로 공급 자체가 줄면 가격이 약간 반등해 완충작용도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통화정책에만 의존하면 가계 부채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통화정책과 재정에 의한 부양책을 균형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면서 한국의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내수 진작과 같은 정책이 필요하고 조언했다.

윤정애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