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장은 PEF 전성시대

국내의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시장은 지금 전성시대다.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은 PEF들이 휩쓸고 있다고 보면 된다. 2009년 말 20조원 수준이던 PEF 출자 약정액은 약 10년 새 4배나 불어나 80조원을 돌파했고 그 수도 600개를 넘어섰다. 출자 약정액은 투자자가 해당 펀드에 투자하기로 약속한 돈이다..

실제로 올해 거래가 마무리된 M&A 중 절반 이상이 PEF 품에 안겼다. 롯데그룹이 금융 계열사를 정리하기 위해 내놓은 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이 각각 MBK파트너스와 JKL파트너스에 넘어갔고 밀크티 프랜차이즈인 공차도 미국계 PEF 운용사에 팔렸다. 공차는 PEF끼리 경영권을 사고판 사례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사례들도 비슷하다. 예비 입찰을 실시한 SKC코오롱PI 매각 건은 MBK파트너스와 칼라일그룹 등이 입찰해 사실상 PEF 간 대결이다. LG그룹의 시스템 통합(SI) 계열사인 LG CNS 소수 지분 매각 거래도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와 맥쿼리 PE의 경쟁입찰이 예상된다. 국내 대기업이 해외가 아닌 국내 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PEF에 조력을 구하는 일도 많다.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 합병 법인 출범 과정에서 미래에셋그룹PE는 4000억원을 투자했다.

PEF는 경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투자 기업의 지분을 10% 이상 보유할 의무를 가진다. 또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해야 하며 출자금의 50% 이상을 2년 내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

국내 최대 PEF 운용사는 ‘MBK파트너스’로 올해 6월 말 투자자들이 투자를 약속한 출자 약정액이 운용사들가운데 가장 많운 9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MBK파트너스는 그동안 컨소시엄을 구성해 코웨이·ING생명·홈플러스·두산공작기계 등을 인수한 바 있다. 특히 2015년, 홈플러스를 7조6000억원에 사들이며 아시아 1위 PEF로 도약했다. 투자 자산 규모가 17조원에 달한다. 올해 재계 순위로 따지면 LS·대림그룹(20조원)에 이어 19위에 해당한다.

국내 대형 PEF 운용사들은 펀드 수익성이 높기로 유명하다. 글로벌 유명 PEF 운용사들도 내부 수익률(IRR)이 15%를 넘기 어렵지만 국내 대형 PEF 운용사들은 IRR이 20%를 육박한다고 한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