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죽이는 항암치료 필요없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원천기술이 개발됐다. 후유증 등을 겪으면서 암세포를 죽이는 방식으로 진행돼온 기존의 항암치료와는 달리 새로운 방식으로 암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찾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시스템생물학 연구를 통해 대장암세포를 일반적인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초기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장암 세포와 정상 대장 세포의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를 분석해 대장암 세포를 정상대장 세포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핵심 인자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암세포의 정상 세포화라는 새로운 치료 원리를 개발했다.

현재 항암치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학요법은 빠르게 분열하는 암세포를 공격해 죽이는 방법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신체 내 정상적으로 분열하고 있는 세포들까지도 함께 죽여 구토와 설사ㆍ탈모, 골수 기능장애, 무기력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게다가 암세포들은 항암제에 내성을 갖게 돼 약물에 높은 저항성을 띄는 암세포로 진화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항암치료는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를 없애기 위해 더 많은 정상 세포의 사멸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변환하는 새로운 방식의 치료전략을 제안했다. 암세포가 정상 세포로 바뀌는 현상은 20세기 초부터 간혹 관찰됐지만, 그 원리가 밝혀지지 않았다.

조 교수팀은 대장암세포를 정상 대장 세포로 변환할 수 있는 핵심 조절인자를 연구했다. 그 결과 발견한 핵심조절인자를 억제하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정상 세포로 변환할 수 있음을 분자세포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조 교수팀은 해당 발견 내용을 서울삼성병원과 협동연구를 통해 검증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번에 개발한 방법이 대장암 이외의 다른 여러 암종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암학회(AACR)에서 출간하는 국제저널‘분자암연구(Molecular Cancer Research)’ 1월 2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찾아낸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저분자화합물은 아직 개발된 바 없으며 추후 신약개발과 전임상실험을 통해 암세포의 정상 세포화라는 새로운 치료 기술이 본격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