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개선이 관건

쿠팡의 2021년 해외 상장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의 블룸버그통신은 소프트뱅크의 지원을 받은 유니콘기업인 쿠팡이 2021년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내부 관계자를 인용해 쿠팡이 내년 상장을 위해 이미 세금 구조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는 쿠팡이 지난해 연간 거래금액이 100억 달러를 초과했으며,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60% 이상 성장한 것으로 파악했다. 2018년 매출액이 4조4000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지난해 최소 7조원대의 매출액을 기대해볼 수 있다. 기업 가치는 2018년 말 기준 90억 달러(10조4500억원)로 평가했다.

SK증권 역시 오는 2021년 상장 추진설이 제기된 전자상거래 업체 쿠팡에 대해 국내 상장보다는 해외 상장 가능성이 크다고 9일 분석했다. 상장 요건을 고려할 때 한국보다는 미국의 나스닥시장과 같은 해외 증시 상장이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 쿠팡은 최근 피아트그룹·페루자저축은행과 나이키·월마트 출신의 재무전문가들을 영입하며 재무구조 관리에 나서고 있다.

쿠팡이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문은 업계에 이미 많이 알려졌다. 일단 자금이 더 필요하다. 2018년 11월 최대주주인 손정의 회장의 비전펀드로부터 20억달러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지만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어서 추가 유입된 자금도 올해 소진 가능성이 높다. 비전펀드가 투자한 우버, 위워크 등의 상황이 녹록치 않아 추가 수혈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나스닥 등 해외시장 상장이 유력한 것은 기술기업이 도전하는 나스닥의 경우 상장을 위한 문턱이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나스닥 시장은 기업이 적자인 상태여도 자기자본 500만달러유통주식 시가총액 1500만달러만 넘으면 누구나 상장에 도전할 수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 기업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면 기대했던 공모가에 도달하지 못해 상장이 무산될 수 있다. 지난해 사무실 공유업체인 위워크도 수익성에 대한 의문으로 상장이 무산되었다.

결국 업게에서는 쿠팡의 수익성 개선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본다. 쿠팡은 당일배송 서비스와 로켓배송 등으로 한국 시장에 혁신을 일으켰지만 2013년 창립 이후 누적적자가 3조원에 달할 정도로 수익성 제고에 애를 먹고 있다. 지난해 적자도 1조5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쿠팡 측은 적절한 시기에 IPO를 추진할 것이라면서도 아직 어디에 상장하고 언제 어떻게 진행할 지는 정해진 게 없다고 밝히고 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