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결과 23일쯤 발표

정부가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사고 원인을 사실상 ‘배터리 결함’으로 내부 결론 지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종 조사 결과는 이르면 23일께 나온다.

2차 ESS 민관합동 조사위원회는 이같은 결론을 담은 보고서를 이르면 23일, 늦어도 이달 중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글로벌 ESS 배터리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국내 제조업체들은 물론 PCS(전력변환장치), EMS(ESS 운영·관리 소프트웨어) 등 연관산업에 미칠 타격도 만만찮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위의 이 같은 결론은 화재사고의 원인으로 배터리 자체의 결함보다는 보호,운영,관리상의 문제를 더 주요하게 봤던 1차 조사 결과와 크게 차이를 보인다.

1차 조사위는 지난해 6월 화재사고 원인 조사 결과 발표에서 ▷배터리시스템 결함 ▷전기적 충격 요인에 대한 보호체계 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및 설치 부주의 ▷ESS 통합관리체계 부재 등 4가지 요인을 화재 원인으로 추정한 바 있다.

일각에선 2차 조사위가 1차 때와 달리 사고 현장의 화재 배터리와 관련 데이터들을 충분히 확보해 결론이 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사위의 이 같은 결론을 확정하게 되면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비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자칫 배터리가 ESS 화재사고의 핵심 원인으로 낙인 찍힐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국내와 동일한 배터리를 탑재하는 해외 ESS 사이트에선 화재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국내 화재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삼성SDI는 지난 10월 국내에 설치된 ESS 전 사이트를 대상으로 외부충격 안전장치 설치, 충격여부 확인 센서 부착, 설치 시공업체 정기 교육 등을 실시하는 안전성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LG화학 역시 사고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화재확산 방지 기술이 적용된 배터리 제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또 사고가 잇따랐던 2017년 중국 난징 공장산 배터리가 탑재된 사이트는 충전량을 70%로 제한하고, 이로 인한 ESS 운영업체의 손실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