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에 환율효과 겹쳐

지난해 저성장과 저물가에 원화 약세가 겹치면서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저성장에 저물가, 환율 상승까지 겹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 경제는 2.0% 성장률을 기록했다. 10년 만에 가장 저조한 성적표였지만 그것도 재정 지출을 확대한 정부의 부양책덕분이었다.

명목 성장률은 2%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포괄적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질 성장률이 2%고 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가 되면 명목 GDP 성장률은 1%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까지 약 5.9% 상승해 달러화로 환산되는 1인당 국민소득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2천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1인당 GNI란 1인당 국민소득은 한 나라 국민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명목 국민총소득(GNI)을 통계청 추계 인구로 나눠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산출한다. 보통 한 나라 국민의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통한다. 2018년엔 3만3천400달러였다. 1인당 소득이 감소하게 되면 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지난 2015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이 된다. 국민소득은 지난 2017년 3만1073달러로 첫 3만달러 대에 돌입했다. 다만,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는 유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미 교역조건을 반영하는 실질 국내총소득(GDI)는 전년대비 0.4% 감소했다. 1998년(-7.0%)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반도체 가격 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된 영향으로 풀이됐다. 실질 GDI는 국내에서 생산활동을 통해 발생한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소득지표다. GDI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국민 체감 소득이 나빠졌다는 의미다.

구체적인 1인당 GNI 수치는 3월 3일 2019년 연간 국민소득 잠정치 통계 발표 때 확인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