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공기관 PC 운영 프로그램…2026년까지 단계적 시행
행안부부터 시작, 국내 관련 산업 및 클라우드 시장 활성화 기대

금년 연말부터 5년 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정부의 컴퓨터 운영체제가 종전의 윈도우가 아닌, 개방형 OS(Operating System)로 모두 바뀐다.
정부는 “그 동안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사용해오던 운영프로그램인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우를 폐기하고, 개방형 운영체제로 교체된다.”고 밝혔다. 개방형OS는 특정기업에 종속된 MS윈도우와 달리 소스프로그램이 공개돼 있어 모든 국민들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PC 운영프로그램이다. 현재 개방형OS는 ‘구름 OS’, ‘하모니카 OS’, ‘티맥스 OS’ 등이 있다.    
정부는 우선 2월부터 개방형 OS 도입전략을 세우고, 10월부터는 행정안전부의 일부 인터넷PC부터 개방형OS를 도입할 계획이다. 개방형 OS는 하반기부터 시작될 예정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도입된다. 민간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PC 환경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형태로서, PC를 책상 위에 두지 않고, 필요할 때만 데이터센터에 접속해 원격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개방형 OS는 가상 PC의 운영프로그램으로 도입된다. 
 
개방형 OS가 도입되면 중앙부처 공무원 1인이 사용하는 물리적인 PC가 2대에서 1대로 줄어들게 돼, 관련 예산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보안을 위해 공무원 1인이 행정업무용 PC와 인터넷용 PC 등 2대를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개방형OS 도입과 함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새롭게 관련 보안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관련 기업에 기존 프로그램의 호환성 확보를 위한 예산과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를 시작으로 모든 행정기관에 단계적으로 개방형OS를 확산할 방침이다.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연한이 끝나는 2026년부터는 대부분의 공무원이 개방형OS를 사용하게 될 전망이다. 
이같은 조치는 최근 ‘윈도우7’ 기술이 종료되었을 때 특정기업에 종속된 프로그램을 사용한데 따른 갖가지 문제점이 발생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당시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기술지원 중단 및 전체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등을 시행함으로써 행정 업무에 적잖은 불편과 혼선을 불러일으켰다.
그 동안 개방형OS 도입 필요성을 인식해 왔으나, 다수 웹사이트와 각종 소프트웨어가 윈도우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현실때문에 도입이 지연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기업이 성능과 기술지원체계가 개선된 다양한 개방형OS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활용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점이 이번 도입의 배경이 되었다.

또 올해 말까지 공공 웹사이트에 대해 윈도우에 종속된 플러그인을 완전히 제거할 예정이어서 도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도입 실무를 맡고 있는 행정안전부는 개방형OS 이용으로 연간 약 7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과 함께 외국계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PC 운영프로그램(OS) 시장에 국내 기업 진출이 쉬워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기술종료에 따른 각종 보안문제와, 그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등 부수적인 업무들이 사라지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특히 개방형OS에 대한  정부 수요가 늘어나고, 관련 국내 기업의 시장참여와 기술투자 증대되며,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확대와 새로운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류정희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