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 가맹점 급증, ‘코로나19’ 계기 40만개 돌파

제로페이 등 신용카드나 현금 대신 스마트폰으로 바코드 혹은 QR코드를 스캔하는 간편결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이를 운영하는 한국간편결제진흥원에 따르면 3월 25일 기준 제로페이 가맹점이 40만개를 넘어섰다. 중국에선 이미 이같은 간편결제 시스템이 전 국민에게 생활화되어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아직 이에 못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제로페이가 확산되면서 멀지 않아 간편결제가 생활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견인하고 있는 것이 2018년 12월 선을 보인 제로페이다. 이는 은행 앱과 간편결제 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직불 결제 수단으로, 출시 1년 3개월 만에 40만4924개의 가맹점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로페이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은행 및 간편결제(페이) 앱 내의 제로페이 바코드 혹은 QR코드를 스캔하여 결제할 수 있다. 현금영수증과 달리 별도로 영수증을 발급받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현재 정부의 소득공제 정책에 따라 3월부터 6월에 쓴 금액에 대해 제로페이는 60%의 공제율을 적용 받는다. 

또한 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부담을 없애 전통시장, 골목상권 중심의 ‘바텀업(Bottom-Up·상향식)’ 방식 경기 활성화에 한몫을 하고 있다는게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의 설명이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해외 글로벌 직불 결제 인프라에 종속되지 않고, 우리의 독자적인 핀테크 기술과 환경에 맞는 직불 결제 인프라를 조성했다는 평가다.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비접촉’(언택트) 결제 방식이 선호된 것도 제로페이의 확산에 한 몫을 하고 있다. 골목상권, 전통시장을 비롯하여 편의점, 제과점, 학원, 약국 등 제로페이 가맹점에서의 활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각 지자체에서 지역경제와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위해 발행하는 모바일 지역상품권도 가맹점 증가에 일조했다. 

업종별 가맹 현황을 살펴보면 소매업이 16만여개로 가장 많았고, 음식 및 주점업이 11만여개, 기타 개인 서비스업이 2만8000여개 등으로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시가 18만여개로 가장 많았고, 경상남도 4만4000여개, 경기도 4만여개, 부산시 3만3000여개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시 각 자치구의 제로페이 가맹점서 사용이 가능한 서울사랑상품권은 15% 할인에 5% 결제 캐시백까지 받을 수 있어 더욱 많이 늘어났다.

가맹점으로선 지역상품권을 통해 매출액을 늘리기 위해선 제로페이에 반드시 가맹해야 한다는 점도 작용했다. 스마트폰과 PC에서 제로페이 홈페이지 접속시 메인 화면의 ‘가맹점 신청’란을 통해 가맹이 가능하며, 모바일 및 온라인 신청시 24시간 내에 가맹 승인, 영업일 기준 5일 내에 제로페이 키트가 발송된다. 인터넷이 익숙하지 않은 가맹 점주의 편의를 위해 진흥원은 별도로 가맹점 접수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제로페이는 각종 소상공인 지원 정책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도 호평을 얻고 있다. 진흥원 측은 “제로페이 가맹점 40만개 돌파는 제로페이 인프라가 시장에 연착륙되었다는 신호”라며 “기존 목표였던 연내 50만개 가맹 모집은 상반기 내 조기달성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진흥원은 제로페이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며, 수수료를 절감하고 매출이 늘어날 수 있도록 제로페이 가맹점을 꾸준히 확대해갈 계획이다. 

류정희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