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난립 속 주변 2기 신도시 인프라 확충 지연 전망도

정부가 수도권 3기 신도시 추가 입지로 경기 고양 창릉지구와 부천 대장지구를 7일 발표하자 이들 지방자치단체는 일제히 환영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응은 온도차를 보였다. 특히 인근의 기존 신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교통난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특히 교통입지가 열악한 부천대장의 경우 향후 정착단계에서 어려움이 있을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2만 가구 4만7천명을 수용하는 부천 대장지구(대장동·오정동·원종동 일대, 343만㎡, 약 104만평)에는 68만㎡의 자족 용지와 첨단 산업단지가 조성돼 패키징·금형·로봇·조명·만화 등 부천시 5대 특화산업과 지식기반산업 관련 기업들이 입주하게 된다. 장덕천 부천시장은 "이번 신도시 지정을 계기로 부천이 영상문화산업단지와 함께 첨단산업 중심의 창조산업 허브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환영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만 나오는 게 아니다. 부천 대장지구는 김포공항과 인접해 항공기 소음에 노출되고, 주변에 지하철도 없는 등 광역교통망이 부족해 교통지옥이 우려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부천시는 정부의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정책에 따라 부천 대장지구에 2만세대(4만7000명)가 공급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부천시는 대장지구 68만㎡에는 자족용지와 도시첨단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100만㎡는 굴포천 생태공원 등 4개 테마공원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와 부천시는 교통대책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중동IC에서 경인고속도로와 교차하는 서운JC 구간에 하부도로를 개설하고, 부천으로 진입할 수 있는 서운IC를 신설할 예정이다. 또 서서울고속도로에 고강IC를 신설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중교통을 위해 인천 청라에서 운행되는 BRT(간선급행버스)를 계양과 대장지구∼부천 종합운동장까지 연결해 서울 접근성을 높이고 향후 홍대입구에서 원종역까지 계획된 지하철 노선 연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대장지구에 대규모 신도시가 조성될 경우 항공기 소음과 교통 체증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장지구는 김포공항과 직선거리로 2∼4㎞ 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공항 활주로 반경 5㎞는 항공기의 원할한 운항과 소음 문제 때문에 고도가 제한돼 52m 이상의 건축물을 지을 수 없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대장지구는 1970년대에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그동안 개발을 하지 못했다. 항공기 소음과 고도제한 때문에 인천공항 신도시가 활주로에서 5㎞ 이상 떨어져 조성되고 고층건물이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이곳은 지난해 말 국토부가 제3기 신도시로 발표한 1만7000세대가 들어설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335만㎡)와 인접해 있다. 부천시가 지난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GS컨소시엄도 부천 상동의 영상문화산업단지 35만2000㎡에 5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추진하고 있다.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중동IC 바로 옆이다. 중동IC는 인천과 부천으로 진·출입하는 차량들로 출퇴근 시간대에는 극심한 체증이 빚어지고 있다. 

지하철과 철도가 없는 상태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인근에 3곳의 대규모 주택단지가 들어설 경우 ‘교통지옥’은 불가피할 전망이라는 게 전문가들 진단이다. 부천시 관계자는 “대장지구는 김포공항 때문에 아파트 최고 높이가 14∼15층으로 제한될 것”이라며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국토부는 서창IC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김포요금소까지 지화하 도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천 대장지구 인근 주민들도 교통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부천 대장지구에서 약 8㎞ 떨어진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에서는 "기존 2기 신도시의 교통·교육 인프라 확충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며 우려 섞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앞서 3기 신도시 입지로 확정된 남양주 왕숙지구 주민들도 즉각 반발했다. 남양주 왕숙지구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로 구성된 '왕숙 기업 국민대책위' 홍의준 사무국장은 "정부의 3기 신도시는 교통, 환경 등 제대로 된 대책이 없다"며 "교수 등 전문가들과 살펴보니 환경 평가 측정지점을 급조해 엉터리로 조사했는데, 밀어붙이기식으로 3기 신도시를 추가 지정, 문제가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신도시의 생명은 교통 인프라다. 주변 지역과 연계된 교통망과 독자적인 교통시스템이 구축돼야 신도시로서의 생명력이 살아날 것이다. 

 

최기준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