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제조건은 교통체제 개선…ICT 시스템 완비, 차선 식별 기능
좌회전 보조차선 명시, 표지판 재설치, 전용차로 인식 시설 등

SKT와 서울시가 함께 시범 운행한 5G 자율주행 버스.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SKT와 서울시가 함께 시범 운행한 5G 자율주행 버스.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자율주행 버스나 자율조정 택시 등 대중교통이 실용화되려면 도로·교통 체제나 시설물, ICT 시스템 등이 이에 맞게 정비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로선 완전 자율주행차량은 개인 승용차보다는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대중교통서비스에 먼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 인식, 안전, 통신, 시스템 등 국내 자율주행 관련 기술의 진행 정도를 감안하면 역시 자율주행 BRT가 가장 먼저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제일 먼저 △돌발 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낮은 ‘폐쇄형 구간’ 운행부터 시작해서 △일반차량과 혼재하는 ‘개방형 구간’,그리고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경로를 산정하여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순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폐쇄형 구간’은 현행 버스전용차로제와 흡사하며, ‘수요응답형’은 현행 택시 운행 제제와 같다. 자율주행 BRT는 2022년경, 자율주행 셔틀·지선 서비스는 2025년경, 자율 주행 수요응답형 교통수단은 2025년 이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로 시스템과 구조 개선이 선결과제
이에 앞서 풀어야 할 문제도 많다. 최근 국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에 따르면 이를 위해선 우선 차선관리를 통한 차선 식별 기능, 교차로 좌회전을 위한 보조차선 명시,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표지판의 이전 및 재설치, 버스전용차로 인식을 위한 추가 시설물 설치·운영 등이 시급하다.
특히 GPS 음영보정을 위한 주행환경을 개선하는 시설이 설치되어야 하고, 비상 상황을 대비해 대중교통 정차 및 대피를 위한 시설도 필요하다. 자율조정 버스가 정류장 승객 유무를 판단하는 및 도킹(docking, 정밀 정차) 시스템이 구비된 자율주행 대중교통 정류장도 필수적이다. 물론 이를 위한 정보통신기술은 기본이다. 교통정보 제공 인프라 구축·운영, 운행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제센터,  데이터 수집 및 활용 기술 개발 등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법적․제도 개선도 서둘러야
또 자율주행 대중교통에 맞는 법적 정비도 시급하다. 대표적으로 현행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등을 개선 내지 개정해야 한다. 우선 운전자에 한정돼 있는 현행 운수종사자 면허제도를 바꿔, 운전자 없이 차량 자체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법령을 개정해야 한다. 또 자율주행차량을 식별하게 만들어 일반차량이 주의 운전할 수 있는 표시를 달도록 의무화해야 한다. 이 밖에 자율주행 대중교통의 정밀주차나 도킹 시설에 대한 사항을 담은 세부적인 규칙등도 필요하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완전한 자율주행차량은 아무래도 승용차보다 대중교통, 특히 버스에 가장 먼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버스는 운행노선이 제한적이고 반복적이어서, 변수가 많지 않다. 또 가장 긴 이동거리를 갖고 있어 자동차 운행의 효율성이 높다. 이에 비해 만약 승용차에 이를 도입할 경우엔 또 다른 도로혼잡을 가중시킬 것으로 보이며, 고가의 부품과 장비가 탑재되어 있어 일반 차량보다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 문제다.

해외에선…세계 50여 도시 ‘자율주행 대중교통’ 시범 운행
현재 전 세계 약 50여 개 도시에서 자율주행 소형셔틀 및 대형버스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북미 18개, 유럽 20개, 아시아 5개 도시 등에서 한정된 단거리 구간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셔틀 기술개발 후 시범운행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판교 테크노밸리와 대구 수성알파시티에서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 셔틀 시범운행을 한 바 있다. 레벨 4는 운전자의 적절한 개입 없이도 주행이 가능한 수준이다. 
현재 국내에선 2022년경 BRT 운행서비스를 통해 완전 자율주행 대중교통이 가능할 전망이다. 기술의 상당 부분은 아직은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이미 2010년부터 자율주행 프로젝트를 완성한 미국·유럽과 달리, 국내의 관련 기술은 다소 뒤처져 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과 자동차 기능안전(ISO26262) 확보 등에서 기술격차가 크다는 지적이다. ‘기능안전’은  자동차 기능 안전성 국제표준으로 자동차에 탑재되는 시스템 오류로 인한 사고방지를 위한 국제 규격이다. 기술개발 역량이 부족한 버스 자율주행은 전자제어 기반의 제동과 조향 기술의 부족으로 해외기술에 의존 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아직 해외기술에 의존”
한편 자율주행 기술 도입에 따른 안전 문제도 중요하다. 운전자 부주의 및 고령 운전자로 인한 사고예방이 중요하다. 그러나 운전자 과실로 인한 사고와 고령 운전자의 낮은 반응속도와 같은 사고 유발 요인은 ‘자율주행 환경인식’(sensing) 기술과 차량제어 기술을 통해 감소할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자율주행자동차가 대중교통에 투입되면, 무엇보다 인건비가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서울시 기준 노무비는 전체 운송원가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노선감축 및 운행횟수가 감소하고 있다. 국토연구원은 “자율주행버스 도입을 통한 노무비 절감을 통해 동일한 비용으로 더 많은 차량과 다양한 노선을 운영함으로써 대중교통 만족도가 향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운전자 일자리 문제 등은 두고두고 풀어야 할 숙제로 남는다는 지적이다.

김예지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