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은 증가

지난해 한국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점유율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이 앞선 미국의 위치는 여전하고 중국의 추격이 무섭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증가했다.

 

무서운, 중국의 추격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막대한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있는 중국 업체들이 점유율을 크게 높이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IHS 마킷, 미국반도체산업협회 등 지난 10년(2010~2019년)간 글로벌 반도체시장 관련 지표를 분석한 결과 10년간 세계 반도체 시장 평균 점유율은 미국 49%, 한국 18%, 일본 13%, 유럽 9%, 대만 6%, 중국 4% 등이었다. 미국은 지난 10년간 45% 이상의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했고, 중국은 2% 미만이던 점유율이 작년 5%까지 늘어났다. 반면 한국은 2010년 점유율 14%에서 2018년 24%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9%로 감소했다. 주도적인 위치를 놓치지 않고 있는 미국과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 중국사이에서 한국은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이같은 모습은 연구개발 실적에서도 반영된다

반도체분야 국제고체회로학회가 매해 발표하는 채택논문 건수를 보면 미국이 압도적 우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중국의 논문건수는 2011년 4건에서 올해 23건으로 5배 이상 급증했다. 중국이 빠르게 연구 실적을 쌓으면서 한국과 중국의 격차도 점점 좁혀져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기술격차는 2017년 기준 0.6년에 불과했다. 하지만 한국과 미국의 시스템 부문 기술격차는 2013년 1.9년, 2017년 1.8년으로 답보상태를 보였다.

 

중국정부의 반도체 굴기

중국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급부상한 이유는 '반도체 굴기' 계획 등 중앙정부 차원의 막대한 지원 결과로 분석됐다. 전경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2018년 주요 21개 글로벌 반도체기업의 매출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이 높은 상위 5곳 가운데 3곳은 중국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반도체 기업은 정부 지원에 힘입어 2015년 이후 공격적인 해외기업 인수합병(M&A)을 단행, 단기간 글로벌 시장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에 따르면 중국은 2014년 누적 인수기업 4곳에서 2015~2018년 29곳에 달하는 기업 M&A에 뛰어들었다. 중국 정부로부터 받은 매출대비 지원금 비중은 SMIC(6.6%), 화홍(5%), 칭화유니그룹(4%) 등이다.

세계 시장 선두에 있는 미국 역시 반도체기업에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 반도체 기업의 매출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은 마이크론 3.8%, 퀄컴 3.0%, 인텔 2.2% 등이었다. 반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의 매출 중 정부지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0.8%, 0.6%에 그쳤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증가

한편 지난달 정보통신기술 수출은 2개월 연속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감소했다. 하지만 감소폭은 줄었다. 특히 반도체는 오히려 수출이 증가했다. .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5월 ICT 수출은 139억3000만달러 수입은 89억2000만달러라고 밝혔다. 무역수지는 50억1000억달러 흑자다. 전년동월대비 수출과 수입 각각 2.6%와 7.8%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은 81억5000만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6.5% 증가했다. 메모리반도체는 57억8000만달러, 시스템반도체는 19억4000만달러다. 각각 전년동월대비 9.8%와 5.3% 늘었다. 서버 PC가 메모리반도체를 견인했다. 파운드리와 팹리스가 시스템반도체 호조를 이끌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12억2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73.0% 많았다. 휴대폰 수출은 7억3000만달러에 그쳤다. 전년동월대비 21.5% 축소했다. 코로나19 이동제한으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