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소통 기반 디지털 플랫폼, 지역 맞춤형 최적화, 민․관연계 등
한국 비롯, 싱가포르, 타이베이, 뉴욕, 중국 항조우 등 성공 사례 눈길
테크놀로지 위주의 추진, 데이터 수집 합의 결여 등으로 실패하기도

사진은 자율주행과 5G가 결합된 스마트시티 교통시스템 이미지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사진=SKT)
사진은 자율주행과 5G가 결합된 스마트시티 교통시스템 이미지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사진=SKT)

[애플경제 김미옥 기자] 스마트시티는 ICT기술이 집약된 미래 도시의 표본으로 꼽히며,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이 이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스마트시티가 성공하기 위해선 나름의 필수적인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조언이다. 예를 들어 시민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시민 참가형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즉, 소통을 통해 시민 차원의 합의를 바탕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또 지역 특성에 맞는 최적화를 기해야 한다. 시장분석기관 IRS글로벌은 “이를 위한 데이터 연계 기반을 구축하고, 여러 분야에서 데이터를 공유해야 한다”면서 “인프라, 경제, 교통, 의료, 교육, 생활 등의 영역에서 스마트화를 진행함으로써 최적화를 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민관이 함께 한 PPP(퍼블릭-프라이빗 파트너십)이 중요하다. 즉 “행정 당국이 비전을 제시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며, 첨단 기술을 가진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가능하다”는 얘기다.

IRS글로벌과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도 활발하게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를 선정, 이를 확산시키고 있다. 이들 스마트시티는 인공지능, 5G, IoT, 블록체인, 그리고 스마트 에너지, 자율주행기술 등이 융합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10여 개의 도시를 선정, 최적의 교통수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해외에선 데이터 구동형 기술을 최대한 활용,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센서 네트워크, 가젯 등 연결성을 높이고, 디지털 공공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그 중 싱가포르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IRS글로벌에 의하면 싱가포르는 ‘GoBusiness’라는 이름으로 정부의 e-서비스 기능을 높이고 있다. 또 최적의 교통 서비스를 실현하는 ‘Smart Urban Mobility’ 등을 핵심으로 한 스마트시티화를 추진하고 있다.

자율주행을 통해 교통비를 절감하고, 공기오염을 줄이기도 한다. 스페인 바르셀로나가 대표적이다. 스페인 정부는 이 도시를 5G의 디지털 허브로 삼고, 5G 기술과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디지털 참가형 플랫폼을 통해 시민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

또한 EV(전기자동차)를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4만2,000대의 EV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스타트 교통’ 시스템에 주력하는 경우도 있다.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는 이른바 ‘스마트 교통전략’을 핵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정책을 펴고 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교통기관의 4분의 1을 자율주행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통, 주택, 의료, 교육 등의 스마트화를 추진하는 한편, 스마트 파킹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한다.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는 타이베이역에 이같은 스마트 파킹 시스템을 만드는 한편, 미래 인프라 계획을 책정하고 2025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다양한 연구소가 모이는 ‘사이언스 시티’도 설치, 실증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뉴욕도 ‘LinkNYC’라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길거리의 공중전화박스를 기가(GiGa)비트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지털 키오스크로 전환한다는 내용이다. LinkNYC는 무료로 초고속 Wi-Fi를 제공한다. 인터넷 환경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세대도 인터넷에 원활히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도로에 설치된 네트워크 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차량의 흐름을 파악하고, 정체나 사고를 빠르게 감지하거나 실시간으로 신호를 최적화함으로써 도시의 정체를 완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구급차의 이동이 빨라졌고, 사고 특정 정밀도가 92%까지 향상되었다. 또한 스마트시티화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복지도 향상시켰다.

중국 항저우시는 이른바 ‘ET City Brain(도시대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알리바바 그룹과 계약을 체결, 클라우드와 AI 기술을 활용하는 도시 관리 시스템 ‘ET City Brain(도시대뇌)’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례와는 달리, 스마트시티 개발이 중단되거나 실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구글의 ‘Sidewalk Labs’는 2017년에 캐나다 토론토시와 제휴, 미래 도시 ‘IDEA’를 개발하기로 했으나 도중에 중단했다.

IDEA는 자율주행, 로봇, 데이터 활용 등 Google의 기술을 사용하는 미래 도시를 구축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3년도 안돼 ‘Sidewalk Labs’는 개발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의 영향도 없지 않았지만, 그 보다는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의 데이터 수집 방법과 관리자, 데이터 관리의 합법성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일본 시즈오카현 스소노시의 ‘Woven City’ 계획도 실패한 케이스다. 애초 토요타가 건설 중인 ‘Woven City’와 연계, ‘차세대형 근미래 도시 구상’으로 거리를 조성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선진 기술을 시민 생활과 연결하기가 어려워, 좀처럼 구현이 되지 않아 결국 폐지될 수 밖에 없었다.

포르투갈의 ‘PlanIT Valley’도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꼽힌다. 애초 이는 센서 네트워크에 의해 집중 관리되는 탄소 중립적인 건물, 자율주행차 운행 등 ‘포르투갈의 실리콘밸리’라 할 수 있는 ‘PlanIT Valley’를 구축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 역시 시민들과의 소통에 실패,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키워드

#스마트시티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