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삼스런 얘기지만 비트코인은 완성된 상태, 즉 완제품이 아니다. 소비자 스스로 해석하고 이해하며 만들어가는 사이버 상품이다. 그러한 ‘기호가치’로 인해 근래 들어 미화 7만달러, 우리 돈 1억원을 가뿐히 넘어섰다. 기호가치가 흔히 그렇듯, 희소성이나 소유보단 끊임없는 유통을 통해 눈사람처럼 가치를 더해간 결과다. 소비자는 완성된 상태를 그저 수동적으로 소비하며 소모한 것이 아니다. 태생부터 미완인 상태로 주어진 블록체인 채굴의 대가를 향유하며, ‘화폐’라는 또 다른 기호와 연결하고 해석하며 맹렬하게 소비한 것이다. 대략 2년6개월 만에 사상최고치를 돌파하며, 신기록을 만든 맥락은 그렇게 해석된다.

하긴 비트코인 또한 엄숙하리만큼 진지한 ‘사용가치’를 갖고 있다. 무릇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탄생의 비밀이다. 매개자 없이 참여자 모두가 분산된 거래원장을 공유하며, 감시와 승인 하에 안전한 거래를 이어간다. 기존 금융권과 같은 일방적 매개자의 권력행위에 대한 응당한 질문이다. 거래의 자율과 존재를 억압하는 중앙집권의 판옵티콘에 대한 소리없는 반란이기도 하다. 좋게 말하면 분산된 신뢰에 바탕을 둔 새로운 디지털 민주주주의 징후라고 하겠다. 그보다 더 진지한 사용가치가 어디 있을까.

그러나 비트코인을 굳이 중앙의 통제력이나 중앙은행과 적대적 위치에 놓을 필요도 없다. 차라리 기존 화폐경제의 모순에 대한 성찰의 도구라고 하는 편이 옳다. 비효율적인 중앙집중식 통제에 대한 반성이며, 법화(法貨)에 의한 기존 신용경제와의 동반자일 수도 있다. 실제 그 기반인 블록체인의 효용은 날로 드높아지고 있다. 이미 우리네 일상의 수많은 텍스트가 블록체인과 결합하며 부패를 방지하고, 투명성과 효율성을 담보하며 재구성된지 오래다.

다소 비약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비트코인은 화폐경제 이전 물물교환의 태생적 본능을 추억한다고 할까. 국경과 지리적 공간을 초월한 사이버공간의 질서도 그것과 닮았다. 어떤 거간꾼도 없이, 그들만의 직거래로 지구촌 뿔뿔이 흩어져있는 부가가치를 추적하고 값을 매긴다. 21세기 접속사회가 되레 태고적 모습을 데자뷔하는 셈이다. 오늘의 현실에선 금융을 비롯한 생활 전반을 혁신하는 모티브도 된다. 나아가선 비트코인의 원초적 DNA라고 할 ‘해체’의 실현이기도 하다. 이 역시 엄청난 ‘사용가치’가 아닐 수 없다.

비트코인에 대한 또 하나의 시선도 있다. 인간의 창조력을 창조한다는 점이다. 디지털시장에선 너와 나의 경험이나 유무형의 기억, 삶 전체가 자본의 타깃이다. 다시 말해 ‘비물질적 부가가치’로서 돈이 되는 것이다. 그런 인간 경험, 즉 인간의 창조능력을 재창조해서 팔아먹는게 지금 디지털문명의 속성이다.

이미 상식이지만, 그렇게 창조를 가공하는 원천은 블록으로 된 휴먼클라우드다. 비(非)시장에서 블록체인 노드마다 ‘삶의 방식’을 제품이나 서비스로 채굴, 공유하고, 대가로 약속받은 교환가치를 거래한다. 최대 2100만개로 채굴량을 한정하되, 그 하나하나, 곧 1비트코인을 최대 1억분의 1(1사토시)까지 쪼갤 수 있도록 비상한 상상력을 발휘한다. 이런 방식으로 공유경제 주체들의 욕구를 분산 인증하고, 경제지표로 약속한 나카모토 사토시의 ‘창조력을 창조한 능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고 비트코인에 대한 ‘예찬’은 금물이다. 잘하면 떼돈을 거머쥘 수도 있다는, 맹랑하지만 절박한 희망사항도 경계 대상이다. 한탕주의니 투기니 하는 도덕론적 훈수도 답이 아니다. 자칫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노드의 핵심을 사유하는데 실패하기 십상이다. 그 보단 인간욕구와 희소한 자원 배분을 조화시키는 최적의 교환수단을 고민하는 키워드로 주목하는게 낫다. 미래의 화폐 문명이 어떠해야 하는지 미리 재단하게 하는 모티브로 삼을 만도 하다.

애초 디지털화폐 시장은 단순한 시장이 아니다. 비트코인이 시사하는 블록체인 시장은 실물을 가공한 의미와 지식이 이해되고 해석되는 소통의 네트워크다. 검증되지 않은 미래가치를 정당화한 ‘창조력을 창조’하는 담론의 장터다. 기호가치와 사용가치에 대한 욕망이 실시간으로 교차하는 거래소다. 그런 담론과 욕망이 달아오를 때마다 비트코인은 사상최고치를 기록하곤 했다. 그게 비트코인의 팩트이자 디테일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